'서훈 → 박탈 → 회복' 환국정치 담긴 25m 충성서약문 국보 된다

2021. 1. 8. 01:48■ 大韓民國/문화재 사랑

'서훈 → 박탈 → 회복' 환국정치 담긴 25m 충성서약문 국보 된다

이기환 선임기자 입력 2021. 01. 07. 21:19 댓글 59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20공신회맹축..' 승격 지정 예고
구미 대둔사 경장 등은 '보물'로

[경향신문]

문화재청이 7일 국보로 승격을 예고한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는 공신들의 충성 맹세 등을 기록한 길이 25m의 조선 왕실문서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7일 조선시대 공신(功臣)들과의 회맹식 후 임금이 내린 교서축 중 실물과 관련 기록이 완전히 남아 있고 길이 25m에 달하는 큰 규모를 갖춘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보물 제1513호·2007년 4월 보물 지정)를 국보로 승격지정 예고했다. 회맹식은 공신들이 임금에게 충성을 다짐하는 의식으로 조선 개국 후 여러차례 열렸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지정될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숙종 6년) 8월30일 ‘회맹제’를 기념하기 위해 1694년(숙종 20년) 녹훈도감에서 제작한 왕실 문서다. 이 의식에는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이르는 역대 20종의 공신이 된 인물들과 그 자손들이 참석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이 중 보사공신들은 서훈-박탈-회복 등의 우여곡절을 겪은 사람들이다.

그것이 회맹제가 거행된 시기(1680년)와 회맹축을 조성한 시기(1694년)가 14년 정도 차이가 나는 이유이다. 숙종 재위 기간(1674~1720년) 중 일어난 3차례의 친위쿠데타 때문이었다. 당시 남인과 더불어 정치 중심세력 중 하나였던 서인은 1680년 경신환국으로 집권한 뒤 공신이 됐다. 그러나 9년 만인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공신 지위가 박탈됐다. 그러나 서인이 1694년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하자 공신 지위를 회복했다. 1~3등까지 총 6명(김만기, 김석주, 이입신, 남두북, 정원로, 박빈)에게 ‘보사공신’ 칭호가 내려졌다. ‘보사공신’은 ‘사직(社)을 지킨(保) 공신’이라는 뜻이다.

국보로 지정 예고된 회맹축은 숙종 연간 보사공신이 있기까지 공신 지위 부여(녹훈·錄勳)와 박탈(삭훈·削勳), 회복(복훈·復勳)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실물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받았다. 1680년 회맹식에 참여한 20공신은 개국공신(1392), 정사공신(1398·1차 왕자의 난), 좌명공신(1401·2차 왕자의 난), 정난공신(1453·계유정난) 등 20차례의 전쟁·정난·반란 등에서 공을 세운 이들이다. 참석대상 총 489명 중 412명이 참석했다.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 회맹제 거행 당시 회맹문(종묘사직에 고하는 제문), 보사공신을 비롯한 역대 공신들과 그 후손들을 포함해 총 489명의 명단을 기록한 회맹록, 종묘에 올리는 축문과 제문으로 구성됐다.

축 말미에 제작 사유와 제작 연대를 적었고 ‘시명지보(施命之寶)’라는 국새를 마지막으로 찍어 왕실 문서로서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

회맹축은 조밀하게 짠 옅은 황비단 위에 붉은 선을 가로 세로로 치고 그 안에 단정한 글씨로 써내려갔다. 가로 약 25m에 달하는 긴 문서의 양 끝은 붉은색과 파란색 비단을 덧댔다. 위 아래를 옥(玉)으로 장식한 축으로 마무리해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어람용 문서답게 화려하면서도 정갈한 인상을 준다. 특히 어람용 회맹축의 제작 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관련 기록인 <녹훈도감의궤>가 함께 전해진다. 긴 두루마리의 글씨는 서사관(書寫官)으로 발탁된 문신 이익신(1631~?)이 썼고, 화원 한후방(韓後邦)이 붉은 선을 그린 사실, 평안도에서 생산한 옥이나 상아, 비단 같은 최고급 재료를 사용한 사실, 숙련된 기량을 지닌 장인을 차출하기 위한 논의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구미 대둔사 경장 등 2건 보물 지정예고.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또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과 ‘구미 대둔사 경장(사진)’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이 밖에 ‘문경 봉암사 마애여래좌상’ 등 조선시대 불교문화재 3건은 보물로 지정했다.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 주요 뉴스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공지AI 기술로 쾌적한 댓글 환경을 만들어갑니다.

댓글 59MY

댓글 입력

세이프봇 설정

설정 버튼

  • 추천댓글도움말
  • 찬반순
  • 최신순
  • 과거순

 

 

  • 루머코3시간전

    국민의힘 김병욱 강간 뉴스는 어디 있냐? 국짐당은 탈당만 하면 만고 땡?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39댓글 비추천하기7

  • 가을남자3시간전

    권력자들끼리 다툼에서 성공한분들의 역사일뿐 후세에게 의미는? 국보는 결국 결정권자의 의미일뿐...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10댓글 비추천하기3

  • 북극성3시간전

    조선시대 이런 서류하나 만드는데도 그 과정을 자세하고 낱낱이 기록하는 의궤라는게 따로 있었고 거기엔 수련된 기량을 지닌 장인을 차출하기 위한 논의과정까지 자세히 기록했다니 과연 조선은 기록하고 그걸 후대에 전달하는 문화는 배울만합니다.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19댓글 비추천하기3

더보기

새로고침

 

많이본 뉴스

포토&TV

 

이 시각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