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균 남기고 싶은 이야기 - 제132화(7631)
<2> 뼛속까지 영화인 신상옥 감독
신 감독 촬영 준비 중 낭떠러지 추락
“에이, 앵글 좋았는데…” 아쉬워해
김승호·김진규·최무룡 제치고
‘연산군’ 주연 발탁 스타 만들어줘
은막 떠나자 “왜 일찍 관뒀나” 타박
“신영균은 수도꼭지” 내 연기 늘 칭찬
신 감독이 저세상으로 가기 한두 달 전쯤 내 제주 집에 온 적이 있다. 하루 이틀 머물러 보고는 풍광이 마음에 들었던 모양이다. 다시 서울로 떠나던 날 그가 부탁 하나를 해왔다.
“나 여기서 좀 쉬게 해줘. ‘징기스칸’ 콘티를 여기서 끝내야겠어.”
“예, 언제든 오십시오. 우리 마지막 작품 같이 하십시다.”
우리는 그렇게 단단히 약속을 하고 헤어졌다. 그게 우리의 마지막이 될 줄은 미처 몰랐다. 곧 보따리 싸서 다시 오겠다던 신 감독과 그렇게 영영 이별을 하게 될 줄을….
내 인생의 영화감독을 꼽으라면 단연 신 감독이 1순위다. 나를 영화계에 발 들이도록 한 건 ‘과부’(1960)의 조긍하 감독이지만, 톱스타 반열에 오르게 해준 건 신 감독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영화사인 ‘신필름’을 이끌고 있었는데 잘나가는 배우들도 그와 일하고 싶어 경쟁을 했다. 특히 ‘연산군’(1961)은 김승호·김진규·최무룡 등 당시 최정상 스타들이 서로 주연을 맡고 싶어 했는데 신 감독이 “이건 신영균이 딱이다”며 아직 충무로 신출내기인 나를 점지했다. 연극 무대에서 다진 나만의 폭발력을 주목한 것 같다. 나보다 두 살 많은 신 감독은 정말 영화를 위해서 태어나 영화만을 위해 산 사람이다. 카메라가 돌아가기 시작하면 그는 빛을 좇는 불나방이 됐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몸을 던졌다.
나도 그렇고 당시 배우들은 신 감독을 참 좋아했다. 그는 무엇보다 연기자를 카메라 프레임 안에 가두지 않았다. 동선을 정해두고 몇 발짝 움직이도록 지시하는 게 아니라 연기자가 자유롭게 자기 감정을 맘껏 표출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움직여줬다. 물론 맘에 드는 장면이 나오지 않으면 거침없이 ‘컷’ ‘NG’를 외쳤다.
신 감독, 사망 두 달 전까지 작품 몰두
그때는 영화 필름이 비싸서 연기가 마음에 안 들어도 ‘이만하면 됐습니다’ 하는 감독들이 많았는데 신 감독은 달랐다. 남들은 필름을 한 3만~4만 자 쓴다면 신 감독은 7만~8만 자씩 썼다. 사업 하다 궁지에 몰렸을 때 빚쟁이들이 촬영장까지 찾아와 옆에 서 있는데도 눈 하나 꿈쩍 않았다. 세트장에 고급 가구나 집기가 필요하면 자신의 집에서 쓰던 걸 가져와 망가뜨리는 경우도 많아 부인 최은희씨가 종종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 양반은 진짜 뼛속까지 영화인이구나’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신 감독 앞에서 최은희씨와 입술이 맞닿는 연기를 하느라 진땀 뺐던 장면도 잊을 수 없다. ‘강화도령’에서 최은희씨가 물 한 모금을 자기 입안에 넣어 다 죽어가는 내게 먹이려 하는 장면이 있다. 남편인 신 감독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지켜보고 있으니 나는 왠지 불편한 마음이 들었다. 입술을 정면으로 포갤 용기가 나지 않아서 내가 약간 비뚤어지게 고개를 돌리면 신 감독은 어김없이 컷을 외쳤다. “물을 입속에 넣어야지 왜 옆에 다 흘리나. 제대로 해!” 시키는 대로 하고 나서야 “오케이” 사인이 나왔다. 신 감독은 사랑하는 여인보다 영화를 더 우위에 두는 사람 같았다.
같은 ‘평산 신씨’라서인지 우리는 통하는 구석이 많았다. 신 감독은 “연기 지도를 안 해도 쓸 수 있는 배우 중 하나”라고 나를 치켜세우곤 했다. 한번은 촬영장을 찾은 내 아내에게 이런 말도 했다. “신영균은 수도꼭지예요. 우는 장면에서 10번 NG가 나면 다시 찍어도 10번을 다 진짜 울어요.” 무뚝뚝한 신 감독치고는 최고의 칭찬이었다.
신 감독은 100% 영화인이었다. 70년대 후반 내가 은막을 떠난 이후 나는 그의 불만 섞인 타박을 들어야 했다. 그는 “신영균에게 흠이 있다면 배우를 일찍 그만둔 거야”라며 아쉬워했다. 늙으면 늙은 대로, 노망이 들면 노망이 든 대로 배우의 생명은 길고 길다고 믿는 사람이었다. 욕심 같아선 살아생전에 마지막으로 멋진 영화를 남기고 싶지만, 신 감독이 없으니 어쩐지 용기가 나지 않는다.
정리=박정호 논설위원,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