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작아지는 '지구의 허파'..아마존 열대우림 8% 사라졌다

2020. 12. 12. 08:39■ 자연 환경/自然

갈수록 작아지는 '지구의 허파'..아마존 열대우림 8% 사라졌다

입력 2020.12.12. 08:26

[서울신문 나우뉴스]

삼림벌채로 사라진 아마존 열대우림의 모습 (사진=INPE)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갈수록 작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존에 대한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브라질의 민간단체 ‘지리좌표 사회환경정보 아마존 네트워크'(RAISG)는 8일(현지시간) ‘시달리는 아마존’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2018년 아마존에선 열대우림 51만3016㎢가 벌목으로 증발했다. 전체 면적의 약 8%가 벌목으로 초토화됐다는 것. 보고서는 “아마존 열대우림을 파괴하는 원인은 각종 채굴산업과 벌목, 사회간접자본 프로젝트, 화재 등 다양하지만 가장 심각한 원인은 무차별적으로 자행되는 벌목”이라고 지적했다.

산불로 불 탄 아마존 열대우림 한 가운데를 걷고 있는 사람(사진=AFP 연합뉴스)

2000~2018년 사이 벌목으로 아마존 면적이 가장 많이 줄어든 해는 열대우림 4만9240㎢가 사라진 2003년이었다. 피해 규모는 한때 줄어드는 듯했지만 2012년부터 다시 속도를 내기 시작해 특히 2015~2018년엔 벌목으로 증발한 면적이 3배로 늘어났다. 2018년에만 아마존 열대우림의 면적은 벌목으로 3만1269㎢ 작아졌다.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대표적 국가는 아마존 대국 브라질이다. 아마존 전체 면적의 62%가 몰려 있는 브라질에선 19년간 열대우림 42만5051㎢가 벌목으로 감쪽같이 사라졌다. 2019년 이후의 자료는 이번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아마존의 벌목 피해는 속도가 붙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1월 출범한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정권은 원주민 보호구역 지정을 미루는 등 사실상 아마존 개발을 부추기고 있다.

화재로 불 타 사라진 아마존 열대우림의 처참한 현장 (사진=AFP 연합뉴스)

브라질 아마존이 벌목으로 초토화하고 있다면 화재 피해가 심각한 곳은 단연 볼리비아 아마존이다. 보고서는 “2001년부터 매년 평균 아마존 열대우림 16만9000㎢가 불에 타 잿더미가 되고 있다”면서 “전체 면적 대비 피해구역 비율로 보면 화재 피해가 특히 큰 곳은 볼리비아 아마존”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볼리비아 아마존은 전체 면적의 27%가 화재로 잿더미가 됐다. 올해는 이 비율이 더욱 높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보고서 분석에선 제외됐지만 볼리비아는 올해도 아마존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곤욕을 치렀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지구의 허파를 보호하기 위해선 관련국의 보호정책부터 조율되어야 한다”면서 아마존 보호에 국제적 공조를 촉구했다.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수리남,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등 9개국에 걸쳐 자리하고 있는 아마존 열대우림은 약 840만㎢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아마존 열대우림에 삶의 터전을 둔 사람은 원주민을 포함해 4700만 명에 이른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연재 서울신문 나우뉴스

더보기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신문 주요 뉴스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댓글 9MY

댓글 입력

  • 찬반순
  • 최신순
  • 과거순

 

 

  • 조금전

    각 나라 자연 보호합시다.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0댓글 비추천하기0

  • 코주부1분전

    어이가 없다 숨쉬고 싶으면 각자 국토에 나무를 심으세요 왜 브라질 나무에서 나오는 산소를 훔쳐마시면서 허파타령이야? 우리나라는 평창올림픽한다면서 가리왕산 울창한 숲을 포크레인으로 초토화시켜놓고 뭐 브라질의 허파가 어쩌고 어째? ㅋㅋㅋㅋㅋㅋ 이건 뭐 면상에 철판을 깔았나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1댓글 비추천하기0

  • 림테이프1분전

    브라질 산림 파괴된 만큼 미국땅에 그만큼 나무 심으면 되는건데?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0댓글 비추천하기0

더보기

새로고침

 

많이본 뉴스

포토&TV

 

이 시각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