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2. 09:51ㆍ■ 문화 예술/방송 언론
조선 "기자들 대통령에게 기본적 예의지켜야" (daum.net)
조선 "기자들 대통령에게 기본적 예의지켜야"
장슬기 기자입력 2022. 11. 22. 07:24
[아침신문 솎아보기] 중앙 "MBC, 언론이라는 관찰자 아닌 플레이어가 되기로 작정한 모양"
국민의힘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거부에 한국 "안쓰러울 따름" 경향 "소나기만 피하나"
[미디어오늘 장슬기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부터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을 중단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태와 관련해 근본적 재발 방지 방안 마련 없이는 지속할 수 없다”며 MBC를 탓했고, 22일 일부 언론사는 이러한 관점으로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그간 MBC의 행태가 도를 넘은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고, 중앙일보는 “MBC는 언론이라는 관찰자가 아니라 실제 플레이어가 되기로 작정한 모양”이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정의당·기본소득당이 지난 21일 국회에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계획서를 제출했다. 우상호 민주당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총 18명 위원이 오는 24일부터 60일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국민의힘은 국정조사 거부를 공식화했다. 여당이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를 거부하는데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건희 여사의 빈곤 포르노 행보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의 빈곤 포르노 행보를 처음 비판한 장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에 대한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김 여사가 행보 당시 조명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는데 사실무근이라는 이유에서다. 빈곤 포르노에서 포르노라는 단어에 꽂혀 느닷없이 이를 음란하거나 선정적인 단어로 해석한 반지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 22일 아침 종합신문 1면 모음
출근길 문답 중단, MBC 탓인가?
대통령실 관계자는 출근길 문답 중단에 대해 “지난 18일 도어스테핑에서 MBC 기자가 윤 대통령 등 뒤에 대고 고성을 지르는 등 난동에 가까운 행위가 벌어진 데 따른 조치”라고 했다. MBC의 무례한 행동 때문에 기자 전체가 취재의 기회를 잃는다는 주장이다. 대통령실은 MBC 소속 해당 기자에 대한 출입기자 등록 취소, 기자실 출입정지, 기자 교체 등을 거론하며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에게 “MBC 기자에 상응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대통령실의 이러한 조치는 어느 정도 성공한 모양새다. 출입기자단은 “품위 손상 여부 등은 간사단이 판단할 영역이 아니며 징계를 논의할 수 있는 근거 규정 자체가 없다”고 했다. 최근 대통령실과 여권이 드러낸 적대적 언론관에 대해 출입기자단이 비판적인 입장을 공식적으로 내지 못한 채 '판단할 영역'이 아니라며 거리를 둔 것은 출입기자단 내부 이견 때문이다. 언론탄압 국면에서 기자들이 분열된 셈이다.
일부 언론에선 대통령실의 언론관이 아닌 MBC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대통령실의 MBC 탓을 반영한 관점의 언론보도라고 할 수 있다. 22일 1면에서 대통령실의 출근길 문답 관련 소식을 담지 않은 곳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세곳이다. 경향신문은 1면 톱기사 “'소통의 문' 6개월 만에 닫은 윤 대통령”, 한겨레 역시 1면 톱기사 “소통한다더니…출근길 회견 일방 중단” 등의 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의 소통 중단을 비판적으로 다뤘다.
▲ 22일 한겨레 만평
조선일보는 사설 “대통령 '도어스테핑' 절제된 모습으로 재개하길”에서 “그간 MBC의 행태가 도를 넘은 것은 사실이다”라며 “잘 들리지도 않는 대통령 발언에 자의적으로 '바이든' 자막을 달고 미 의회와 미 대통령을 모욕한 듯 보도했다”고 '비속어 논란' 보도에 대해 MBC를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김건희 여사 논란 관련 방송에선 대역을 썼음에도 알리지 않았다”며 “지금 MBC는 기자들이 정권 별로 당파를 짓는 등 정상적 방송사로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MBC의 비정상적 행태를 시청자들이 자연스럽게 외면할 텐데 굳이 대통령실이 감정적인 대응을 했다는 주장도 했다.
조선일보는 윤 대통령의 출근길 문답 중단 소식에는 초점을 두지 않았다. 대신 “여러 실언과 감정적 어투로 문제를 낳기도 했지만 국민과 소통을 강화해 우리나라의 권위적 대통령 문화를 크게 바꿨다는 평가도 함께 받는다”고 출근길 문답에 대해 극찬했다.
조선일보는 “지금처럼 대변인이 할 말을 대통령이 하는 식이 되어선 안 된다”며 소통 방식의 변화를 주문했다. 해당 사설 끝에선 “기자들도 대통령에게 기본적 예의를 지켜야 한다”며 사실상 다시 MBC를 탓하는 문장으로 마무리했다.
▲ 22일 중앙일보 오피니언면
중앙일보는 “MBC와 이재명의 '탄압 코스프레'”라는 정치에디터 칼럼에서 “도어스테핑을 마치고 돌아가는 윤 대통령 뒤에 대고 MBC 기자가 '뭐가 악의적이에요'라며 쏘아붙였다. 질문보다 시비조였다. MBC는 언론이라는 관찰자가 아니라 실제 플레이어가 되기로 작정한 모양”이라며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이 반말로 MBC 기자를 막아선 것에 대해 “MBC 기자의 위세가 쩌렁쩌렁했다. 비서관은 쩔쩔맸다. 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권력 서열을 보여주는 듯했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보도가 불공정하다고 취재원이 항의할 경우, 불공정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할 책임은 사실 언론사에 있다”며 “하지만 MBC는 되레 '증거를 내놓으라'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이 이미 가짜뉴스의 근거를 숱하게 제시했는데 이를 반박하지 못한 채 공자님 말씀만 늘어놓은 것”이라고 MBC 측 해명을 평가하며 “한쪽이 디테일을 따질 때 반대편이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한다면 어느 쪽이 진실에 가까울지는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겨레는 MBC의 보도나 기자 행태에 대한 비판이 출근길 문답 중단의 사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사설 “윤 대통령 출근길 문답 일방 중단, 편협하기 짝이 없다”에서 “기자의 질문이 '난동 수준'이라는 주장은 동의할 수 없거니와 설령 불쾌했더라도 이것이 대통령실 용산 이전의 '치적'으로 내세웠던 출근길 문답을 느닷없이 중단할 이유가 되나”라며 “윤 대통령의 정제되지 않은 답변과 호통치는 듯한 태도 등이 그동안 구설에 오르니, 이번 일을 계기로 중단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고 대통령실을 비판했다.
한겨레는 “가림막 설치 이유 역시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대통령실은 대통령 동선 등 경호상 이유를 드는데, 윤 대통령은 앞서 '대통령직 수행 과정이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드러나야 한다'며 기자실을 대통령실 청사 1층에 배치했다고 밝힌 바 있다”며 “언제는 투명성을 강조하더니, 이제 와 동선 노출을 문제 삼는다”고 지적했다.
▲ 22일 중앙일보 만평
한겨레는 대통령의 언론관을 문제 삼았다. “여기엔 언론을 국정 홍보 수단쯤으로 여기는 오만한 태도도 깔려있다”며 “대통령실은 '근복적인 재발방지 방안'을 거론하는데 자칫 비판언론 취재 배제의 형태로 나타날까 우려된다”고 했다.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도어스테핑 중단과 가림막 사태를 목도하며, 윤 대통령에게 진정한 소통 의지가 있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안보불안을 감수하고, 거액의 예산을 써가며 이전을 강행한 까닭은 무엇이었나”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거부
여당이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거부하자 다수 신문에서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사설 “여당, 이태원 국정조사 미룬다고 될 일인가”에서 “국민의힘은 국정조사의 필요성 자체는 부정하지 않는 듯 말하지만 정부에 비판이 집중될 상황을 만들지 않으려는 태도가 안쓰러울 따름”이라며 “수사는 현장 인력만 형사처벌하는 꼬리 자르기가 될 것이라는 불신이 높고, 더 근본적인 정치적 책임은 지는 이가 없으니 국정조사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 22일 한국일보 사설
국민일보는 사설에서 “수사는 책임이 있는 사람을 찾아 범죄 혐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참사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누군가를 처벌하는 것으로 끝낼 수 없다”며 “법·제도의 맹점과 정부의 안일한 운용 여부를 찾아야 한다. 책임질 기관들의 협조 체제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들이 수사 결과를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어려운 분위기가 이미 만들어졌으니 국회를 포함한 다른 기관이 다시 나서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국정조사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다른 일도 아닌 158명이 목숨을 잃은 참사를 두고 집권여당이 국민 다수의 뜻을 거스른 채 정쟁으로 몰아가는 행태가 개탄스럽기만 하다”며 “수사와 국정조사를 대립적 관계로 간주하는 것부터가 크게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여당은 소나기만 피하려 하지 말고 참사 진상규명에 책임있게 나서야 한다”고 했다.
빈곤 포르노 논란, 우려할 것은 반지성
경향신문 전국사회부 차장은 “빈곤과 포르노 사이”라는 기자칼럼에서 “정작 정치권은 '포르노'라는 세 글자에 매몰된 나머지 사진 뒤에 숨겨진 빈곤이 재생되는 작동기제와 해법에는 관심이 없다”며 “그동안 구호단체 또는 미디어가 보여주는 적나라한 '빈곤 포르노' 사진이나 영상, 사연 등은 보면 볼수록 불편했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빈곤과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시혜적인 도움보다는 구조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빈곤 포르노라는 용어에서 포르노에 꽂힌 분들은 이 오래된 논쟁에 대해 한번도 고민 안해본 사람임을 인증한 것'이라고 일갈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지적처럼 정치권은 이제라도 양극화 문제 및 아동 지 등을 위한 생산적 논의를 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나임윤경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한겨레 칼럼에서 “'급진의 20대' 저자 김내훈은 이른바 '이대남'의 페미니즘에 대한 '극혐'에 대해 페미니즘에 대해 제대로 모르면서 그 이름에만 '극불호'의 정서를 갖는 것이라 분석한다”며 “새롭고 낯선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 의미를 차근차근 배우려는 진지한 노력 대신, 혐오, 조롱, 분노의 손가락질부터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김 여사의 빈곤 포르노 행보에 대해 '포르노'라는 단어에 꽂혀 황당하게도 이를 음란(?)하게 해석한 여권에 대한 비판이다. 여권 정치인들은 장경태 의원의 '빈곤 포르노' 발언을 여성혐오라는 엉뚱한 해석을 덧붙이며 공격했기 때문이다.
그는 “의미를 알려고 하지 않으니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이번 '빈곤 포르노'에 대한 여당 정치인들의 반응에서 보듯, 논지를 벗어나 전혀 무관한 논리로 자주 변질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렇게 본다면 어떤 이론이나 개념에 대해 의미를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분노의 정서부터 표출하며 권력감과 정치적 효능감을 맛보려는 자들이 다만 20대 일부 남성만은 아니다”라고 했다.
※ 미디어오늘은 여러분의 제보를 소중히 생각합니다.
news@mediatoday.co.kr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고영주, 간첩조작질·양두구육·극우부패세력” 표현 5년만에 무죄 - 미디어오늘
- ‘불미스런 일’ 대외협력비서관 사의 발표 뒤 MBC기자 조치 암시한 대통령실 - 미디어오늘
- ‘빈곤 포르노’ 정쟁 받아쓰기, 엉뚱한 ‘포르노 논쟁’만 키웠다 - 미디어오늘
- 대통령실, MBC ‘천공은 누구인가’ 방송 불편했나 - 미디어오늘
- 방송·애니·영화업계 “제작비 세액공제율 상향하라” - 미디어오늘
- “공영방송 정치독립 5만명 청원, 일등공신 윤석열” - 미디어오늘
- MBC기자 제재 대통령실 요청에 기자 간사단 “어떤 의견도 내지 않기로” - 미디어오늘
- 언론자유 깃발 아래 민주당과 언론인 긴급좌담회 “모든 수단 동원하겠다” - 미디어오늘
- ‘대통령 심기’를 건드린 언론의 최후는 - 미디어오늘
- 할머니의 커피맛 사탕 한 봉지 - 미디어오늘
'■ 문화 예술 > 방송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lk show hosts reveal their worst guests (0) | 2023.01.16 |
---|---|
박성중 "팔짱끼고 슬리퍼? 세계 10위권 나라 기자냐…MBC 민영화 해야" (0) | 2022.11.22 |
'America's Got Talent' going global with all-stars version (0) | 2022.10.08 |
KBS 이현주 아나운서, 2세 연하 변호사와 11월 결혼 (0) | 2022.09.28 |
시속 320km 달리는 고속열차.. 국내 첫 생산 시범운행 돌입..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