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7. 02:25ㆍ■ 菩提樹/菩提樹
밴조선 커뮤니티 :: 밴조선 카페 > 포토사랑 > ■ 신륵사(神勒寺) (vanchosun.com)
■ 신륵사(神勒寺) : 경기도 여주시
■ 신륵사(神勒寺) : 경기도 여주시
요약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1379년 많은 전각을 신축하고 중수했으며, 1382년 대장각 안에 이색과 나옹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을 봉안했다.
조선시대 때 억불정책으로 절이 위축되었으나 1469년 영릉의 원찰이 되었고, 1472년 절이 확장되고 다음 해에 보은사로 개칭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671, 1792, 1858년에 각각 중수되었다.
현재 금당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여주 신륵사 조사당(보물 제180호)·명부전·적묵당·노전·칠성각·종각·구룡루·시왕전 등이 있다. 또한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제225호)·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보제존자석종(보물 제228호) 등 많은 문화재들이 있다.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 신륵사 내 극락보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신륵사 내 극락보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신라 진평왕(579~631 재위) 때 원효(元曉)가 창건했다고 하나 정확하지 않으며, 신륵사라 부르게 된 유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동국여지승람〉 권7 여주목불우조(驪州牧佛宇條)에 의하면 신륵사는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璧寺)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벽사는 고려시대에 경내의 동쪽 언덕에 벽돌로 된 다층전탑이 세워지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절이 대찰(大刹)이 된 것은 나옹화상(懶翁和尙:혜근)이 입적할 때 기이한 일이 일어난 뒤부터이다. 1379년(우왕 5) 각신·각주 등이 절의 북쪽에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나옹의 초상화를 모신 선각진당(先覺眞堂)을 세우면서 많은 전각을 신축하고 중수했다.
1382년에는 2층의 대장각(大藏閣) 안에 이색과 나옹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을 봉안했다. 조선시대에는 억불정책으로 인해 절이 위축되었으나 1469년(예종 1)에 영릉(英陵:세종의 능)의 원찰(願刹)이 되었고, 1472년(성종 3) 절이 확장되고 다음해에 정희왕후가 보은사로 개칭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戒軒)이, 1702년(숙종 28)에는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했다.
1858년(철종 9) 순원왕후(純元王后)가 내탕전(內帑錢)을 희사해 중수했다. 현존 당우로는 금당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여주 신륵사 조사당(驪州 神勒寺 祖師堂:보물 제180호)·명부전·심검당·적묵당·노전(爐殿)·칠성각·종각·구룡루(九龍樓)·시왕전 등이 있다. 또한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제225호)·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보제존자석종(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보물 제228호)·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보물 제229호)·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보물 제230호)·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보물 제231호) 등과 같은 문화재들이 있다.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보물 제225호. 높이 300cm. 이 석탑은 2층의 기단부 위에 다층의 탑신부가 있어 기본적인 구조는 신라나 고려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각 부재의 세부조형은 전혀 다르다.
신륵사다층석탑(조선 전기), 보물 제225호, 높이 300cm, 경기 여주시 천송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흰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이 탑은 기단에서 탑신에 이르는 각 부재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지복석 위에 복련이 조각된 하층 기단부가 있으며, 그 중석에는 화형으로 장식된 우주가 있고 그 사이에는 파도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갑석은 상하에 앙련과 복련이 있고 중간에 넓게 돌출된 띠가 있다. 상층 기단부의 중석 역시 화형의 우주가 있고 그 사이에 운룡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상층 갑석에는 복련만 새겨져 있다.
탑신부는 체감률이 완만하며 옥신석은 옥개석의 두께와 비슷할 정도로 낮다. 옥신석의 각 면에 우주가 있고 옥개석은 수평에 가까워 낙수면도 완만하며 합각 부분에서 매우 약한 반전이 있을 뿐이다.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고 철제 찰주만 남아 있다. 현재 8층의 옥개석 위에는 작아진 옥개석과 옥신석이 1개씩 남아 있어 더 많은 층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보물 제226호. 높이 940cm. 한강변에 있는 암벽 위에 건립된 것으로, 지대석 위에 화강석으로 된 7층의 기단이 있고 그 위에 높은 6층의 탑신부가 있다. 기단 위에 탑신부의 받침을 마련한 것은 신라시대의 전탑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탑신부는 6층 부분만 높이와 너비가 급격히 줄어들었을 뿐 각 층의 체감률이 낮아 전체적으로 고준해 보인다.
신륵사다층전탑(1726 중수), 보물 제226호, 높이 300cm, 경기 여주시 천송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 층의 옥개는 옥신에 비해서 극히 간략화되어 있다. 상륜부는 전으로 된 노반 위에 화강석으로 된 복발·앙화·보륜·보개 등이 얹혀 있다. 탑 북쪽에 있는 이 탑의 수리비에 "崇禎紀元之再丙午仲秋日立"(숭정기원지재병오중추일립)이라고 씌어 있어서 1726년(영조 2)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전탑이다.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보물 제228호. 높이 190cm. 1376년 나옹이 경기도 양주의 회암사에서 경상남도 밀양으로 돌아가던 중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1379년 각신과 각주가 절의 뒤편에 있는 봉미산 중턱에 묘역을 마련하고 나옹의 사리를 봉안한 것이다. 넓은 묘역을 마련하고 전면에 박석을 깔았으며, 그 위에 넓은 기단을 마련하고 그 위에 놓여 있는 2매의 판석 중앙에 석종형 부도를 안치했다.
혜근
신륵사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 보물 제228호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단의 정면과 좌우면 중간에 2단의 계단이 있고, 탑신은 위로 갈수록 완만한 타원형을 이루다가 어깨부분에서 수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주를 조각했다. 이 부도의 형식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원당형 부도와는 다른 것으로 라마 탑계에 속하는 특이한 형식이다. 이러한 계단탑 형식의 부도는 통도사와 금산사 등에 있는데 이러한 형식을 모방한 것으로 조선시대에 전개되는 석종형 부도의 선구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예이다.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1379년 건립. 보물 제229호. 높이 212cm. 너비 61cm. 지대석 위에 3단의 직사각형 대석이 놓여 있는데 상단의 대석에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그 위에 비신을 얹었다. 대리석으로 된 비신의 양 옆에는 화강암 기둥을 세워 비신을 보강하도록 했으며 그 위에 목조건축물의 공포와 기왓골을 조각한 옥개석을 얹었다. 이러한 석비의 조형은 이 절에 있는 대장각기비(보물 제230호)와 비슷하다. 신라시대 이래 일반화된 형식인 귀부와 이수는 고려 말기에 대석과 옥개석으로 변형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예이다. 비문의 내용은 이색이 지었고, 글씨는 해서체로 한수(韓脩)가 썼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문 후면, 보물 제229호,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 282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보물 제231호. 높이 194cm. 전형양식에서 변형된 석등으로 화사석을 제외한 모든 부재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보물 제231호,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 282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팔각 지대석 위에 기단부는 상대·중대·하대가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8각의 하대석에는 복련이, 상대석에는 앙련이 도식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중대석(간주석)은 그 길이가 상당히 짧아졌으며 각 면에는 꽃무늬가 장식된 아(亞)자형 안상이, 각 모서리에는 연주형(連珠形) 우주가 새겨져 있다. 상대석 위에는 2단의 층급이 있으며 그 위에 납석제 화사석이 있다.
팔각형의 화사석 각 면에는 화사창(火舍窓)이 뚫려 있고, 모서리에는 반룡이 조각된 원형기둥이 고부조로 새겨져 있다. 화사석의 상단에는 창방과 평방이 조각되어 있고, 그 아래 기둥 사이에는 고부조의 비천상(飛天象)을 장식했다. 전각(轉角)이 두꺼운 옥개석은 둔중한 느낌을 주며 각 면의 합각에 우동만이 둥글게 돌출되어 있다. 상륜부는 연꽃이 장식된 복발 위에 2단의 층급을 이룬 연꽃 봉오리형 보주가 얹혀 있다.
전체적으로 석등의 우아한 형태와 장식성이 돋보이며, 기단부의 간주석이 짧아져 상대와 하대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은데 이는 석등이 형식화되어가는 시대적 추이를 반영한 것이다. 보제존자석종 앞에 있으므로 보제존자인 나옹의 부도가 세워진 139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등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人生(인생)
人生事(인생사) 先後(선후) 緩急(완급) 輕重(경중)이 있습니다.
우리네 人生(인생)은 아무도 대신 살아 주거나 누구도 대신 아파 주거나 죽어 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어디든지 갈 수 있을 때 가지 않으면 가고 싶을 때 갈 수가 없고 무엇이든지 할 수 있을 때 하지 않으면 하고 싶을 때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奇跡(기적)은 아무에게나 어디서나 함부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릴 때는 꿈과 희망을 먹고 자랐지만 성인이 되면 計劃(계획)과 實踐(실천) 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마음 가는 대로 잘 생각하고 判斷(판단)해서 몸 가는 대로 行動(행동) 하고 實踐(실천)하며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면 될 것입니다.
다만, 嚴重(엄중)한 現實(현실)앞에 우선순위를 어디에 어떻게 둘 것인가에 愼重(신중)을 기해서 責任(책임)과 義務(의무)를 다해야 할 것입니다.
人生事(인생사) 刹那(찰나)와 彈指(탄지)에 지나지 않습니다.
지금 이 순간, 最善(최선)입니까?
인생의 眞理(진리)는 오직 살아 있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로지 건강하세요.
가족의 健康(건강)과 가정의 幸福(행복)을 축원합니다.
늘 고맙습니다.
19991212(陰1105) SUN
Mundy Sung
■ 生活사진
생활寫眞은 일상의 사소한 발견입니다.
삼라만상(森羅萬象)은 곧 사진의 훌륭한 소재라고 생각합니다.
늘 가지고 다니는 휴대 전화기나 손 안에 쏙 들어가는 똑따기 사진기만으로도 누구나 크게 공감하고 많이 동감하는 이야기를 만들 수가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더 없는 사랑과 꾸밈없는 정성으로 인시공(人時空)을 담아내어 소중한 추억으로 오래토록 간직하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사진은 빛의 예술이자 역사의 기록이다’
생활寫眞에 대하여 이렇게 거창한 말까지 앞세울 필요는 전혀 없을 것 같습니다.
진실과 진심으로 있는 대로 보고 진정과 최선을 다하여 보이는 대로 담아내면 그것이 곧 예술이자 역사가 될 것입니다.
보다 많은 사진 인구의 저변 확대를 기대합니다.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행복을 祝願(축원)합니다.
오로지 건강하세요.
늘 고맙습니다.
20121212(陰1029) WED
Mundy Sung
■ CAMERA : SONY DSC-HX80(똑따기 사진기)
■ 신륵사(神勒寺) : 경기도 여주시
'■ 菩提樹 > 菩提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그날 아침 (0) | 2022.04.23 |
---|---|
■ Pattullo Bridge(New Westminster]Fraser River[Surrey), BC. CANADA (0) | 2022.04.07 |
■ 20210921 TUE Vancouver Sunrise (0) | 2021.09.22 |
■ 2021년 한가위(仲秋節)입니다 (0) | 2021.09.14 |
■ 20210212(음0101) FRI 신축년(辛丑年) '설날' (0) | 2021.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