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 14. 10:52ㆍ■ 건강 의학/COVID-19 Omicron외
'백신의 위력' 말해주는 이 한 장의 그래프
곽노필 입력 2020.12.14. 09:06 수정 2020.12.14. 10:46
[코로나19 세계 대유행]화이자 백신 승인 심사에 제출된 그래프
1회 접종후 12일째부터 면역력 나타나
1회 백신 접종 후 코로나19 감염자 발생 추이. 파란색은 위약그룹, 주황색은 백신그룹. 네모와 동그라미 도형 안이 채워진 것은 중증 사례를 뜻한다. 왼쪽 위의 그래프는 1회 접종 후 21일까지의 감염자 추이만을 확대해서 보여준다. 뉴잉글랜드의학저널
이제 막 공급되기 시작한 백신은 죽음의 코로나19 롤러코스터에서 탈출할 도구가 될 수 있을까?
세계 각국이 잇따라 백신 긴급사용 승인에 나섰다. 화이자 백신은 지난 2일 영국을 시작으로 캐나다,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에 이어 미국까지 6개국의 승인을 받아냈다.
미국에선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주말 잇따라 백신 사용을 승인했다. 두 기관의 자문기구들은 백신 공동개발업체인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제출한 보고서를 토대로 심의한 뒤 표결을 통해 각기 ‘찬성 17-반대 4’ ‘찬성 11-반대 0’으로 백신 승인 권고 결정을 내렸다. 이번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 화이자 백신은 임상 3상 시험 결과 95%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문위원들은 왜 압도적인 찬성표를 던졌을까? 회의에 제출된 53쪽짜리 보고서 속의 한 그래프(위)에 그 답이 들어 있다. 이 그래프에는 백신을 접종한 사람과 위약을 투여한 사람 간의 코로나19 감염률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위약 주사를 맞은 사람이 파란색 선, 백신을 맞은 사람이 빨간색 선이다. 그래프를 보면 1회째 주사를 맞은 후 첫 주 동안은 두 그룹의 감염자 수가 거의 같은 속도로 늘어난다. 그러나12일째부터 두 그래프의 방향이 갈라지기 시작한다. 백신 접종자들에게 면역력이 생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날짜가 지날수록 두 그래프의 간격은 크게 벌어진다.백신 접종 그룹에선 2주 이후부터는 코로나19 신규 감염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위약 투여 그룹에선 감염자 증가 속도가 줄어들지 않았다. 면역학자인 플로리안 크래머는 이 그래프를 자신의 트위터에 공유하면서“말이 필요없다. 이것이 백신이 하는 일이다.”라며 놀라워 했다.
화이자 백신 주사는 어깨 부위에 3주 간격으로 두 번 놓는다. 픽사베이
3주 간격 2회 접종…"75% 이상 맞아야 집단면역"
화이자는 12월10일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MJ)에 발표한 백신 임상시험 결과 보고 논문에도 이 그래프를 실었다. 이에 따르면 임상시험 참가자 4만3448명 중 2만1720명에겐 백신(BNT162b2)을, 2만1728명에겐 위약을 투여했으며 2회 접종(1회당 0.3ml)을 모두 마친 지 7일 이후 감염자가 발생한 사례는 백신그룹이 8명, 위약그룹이 162명이었다. 첫번째 투약 이후 발생한 10건의 중증 감염자 중 9명은 위약투여자였으며 백신투여자는 1명이었다. 논문은 백신 접종 부작용으로 짧은 기간 주사 부위의 통증과 피로감, 두통을 꼽았다. 화이자 백신 주사는 3주 간격으로 어깨의 둥그스름한 부분을 이루는 삼각근 부위에 놓는다. 주사량은 0.3ml다.
백신의 진정한 효과는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만 보호하는 게 아니라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도 보호해준다는 점이다. 백신 접종자 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소수 감염 사례가 발생해도 다른 사람으로 전파되는 길이 막힌다. 이를 집단면역 효과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60% 이상에 면역이 생기면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감염성이 매우 강한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는 면역력 보유자가 이보다 더 많아야 집단면역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집단면역의 분기점을 `전체 인구의 75~85%'로 본다.
소아마비(위)와 홍역(아래) 백신 개발 전 과 후의 감염자 비교. Our World in Data
그동안 개발됐던 감염병 백신은 수많은 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켰다. 위의 그래프는 1955년 소아마비, 1963년 홍역 백신이 개발된 이후 미국의 소아마비, 홍역 환자가 얼마나 극적으로 감소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화이자 백신을 시작으로 드디어 코로나19 사태에도 반전의 기회가 왔다.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빨리 백신을 맞히느냐가 코로나19의 집단면역 시기를 좌우할 것이다. 하지만 11월 미국의 갤럽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인의 42%가 백신을 맞을 생각이 없다고 답변했다. 백신에 대한 불신, 소셜미디어 등에 나도는 음모론, 가짜뉴스 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백신 전문가들은 실제로 42%가 백신을 맞지 않는다면 집단면역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또 하나의 변수가 있다. 백신의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될지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도 명확한 답을 갖고 있지 못하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연재 코로나19 세계 대유행
-
'백신의 위력' 말해주는 이 한 장의 그래프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 주요 뉴스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 한 장의 그래프가 백신의 위력을 말해준다
- 정세균 “거리두기 3단계는 최후의 보루” 신중론
- 친구와 부딪혀 숨진 6세 엄마의 청원…20만명 동의
- 개조버스서 온열기 틀고 차박하다 1명 숨지고 3명 치료 중
- [속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718명…일단 1천명 아래로
- 13평 4인 가구? 진실공방 뒤엔…10년 전 기준에 갇힌 공공임대
- 대통령 지지율 36.7%로 떨어져…부정평가는 58%까지 올라
- 냉동만두 하나로 한해 1조원 눈앞…“외국인 입맛 사로잡았죠”
- ‘조두순 조회수’ 올리는 유튜버들…여성계 “구조적 원인에 관심을”
- ‘강 건너 양수리 구경’ 45년째…팔당 보호구역 논쟁
댓글 320MY
- 추천댓글도움말
- 찬반순
- 최신순
- 과거순
-
CROSSROAD1시간전
우리나라는 독감백신조차 위험하다고 기더기들이 가짜뉴스 뿌려대는 마당에ㅋ 코로나 백신은 얼마나 난리 부르스를 칠지 안봐도 뻔하다. 기더기들이 대한민국의 암덩어리다.
답글17댓글 찬성하기732댓글 비추천하기45
-
김학수_뭉치아빠1시간전
21일까지는 그렇다치고, 몇 개월이나 저 그래프가 지속되는지 정보가 있어야 판단이 되겠네요....
답글2댓글 찬성하기46댓글 비추천하기14
-
로이우스1시간전
지금 맞는건 사실상 임상실험인데 무슨 헛소리를 저리도 장황하게 써놓은거냐 기래기들 기억력도 드럽게 나빠요 독감백신 맞으면 죽는것처럼 호들갑떨땐 언제고 이제막 개발된 백신 빨리 안맞춘다고 난리치는건 또 뭐냐?
답글15댓글 찬성하기339댓글 비추천하기75
더보기
새로고침
많이본 뉴스
- 뉴스
- 1위버스 개조 차박하다 가스 중독 참변..50대 4명 사상
- 2위중국서 100만명 맞은 시노팜 백신, 페루서 임상시험 중단..참가자 다리 마비
- 3위친구와 부딪혀 숨진 6세 어머니의 청원..20만명 동의
- 4위'백신의 위력' 말해주는 이 한 장의 그래프
- 5위"10억 아파트, 복비만 900만원"..정부 30년만에 중개사업 종합검토
- 6위자영업자는 하루하루 버티기 숨찬데.. 공무원 1년 유급휴가 '공로연수' 뒷말
- 7위이준석 "국민의힘 초선의원 주목받으니, 필리버스터 기류 달라진 것" vs 박성민 "코로나 확진 천명, 상황 달라졌어"
- 8위추미애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읽고 숨이 턱턱 막혀"
- 9위"120만원 아꼈는데 85만원 토해".. 건보료 인상안에 ISA 가입자 분통
- 10위"쫓아내려고"..길고양이 머리에 화살 쏴 실명시킨 40대, 2심도 '집유'
이전다음전체 보기
- 연예
- 스포츠
포토&TV
이 시각 추천뉴스
- "조두순 막아라"가 "유튜버 막아라"로.. 주민들만 이중고
- 매일경제"확진자 그래프가 똑같네"..'세계모범' K방역, 일본 전철밟나
- 중앙일보"비좁은 비행기 타기 무섭다" 2주만에 관광객 뚝 끊긴 제주
- 서울신문자리 없어 못 간다던 'ROTC'..왜 찬바람 불까 [밀리터리 인사이드]
- 중앙일보[단독] 확진 1000명 넘자, 병원 통째 내놓은 의사 김병근
- 한국일보"스마트폰 중국 공장 옮긴다".. 인도, 삼성에 화끈한 '선물보따리'
- 민경욱, '미 대선 불복' 트럼프 지지 집회 참석
- 아시아경제"파티룸에서 놀면 되죠" 20·30 '코로나 불감증' 심각..시민들 '분통'
- 연합뉴스윤미향 '노마스크 와인모임' 논란..野 "길 할머니 연세도 틀려"(종합)
- 조선일보'쇼생크 탈출'은 현실이었다, 옥중 살해·강간·뇌물 줄잇는 美교도소
- 매일경제[단독] 서울대 뒤늦게 '조국 대책'..위조 부정땐 입학 취소
- 뉴시스김장 이어 교회발 확산..제천시, 공무원 가족 고발 초강수(종합)
'■ 건강 의학 > COVID-19 Omicron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상 안 내줘" 비난받는 민간병원, 알고보니 "메르스 손실보상금도 못받았다" (0) | 2020.12.16 |
---|---|
한국이 '백신 전쟁'에서 밀려난 네 가지 이유, 이렇다 (0) | 2020.12.16 |
'코로나 전사' 지원한 국시거부 의대생들.."정부와 화해 모드" (0) | 2020.12.13 |
"코로나에 더는 못버텨"..'영등포역 터줏대감' 맥줏집 문 닫는 날 (0) | 2020.12.12 |
김기덕 감독, 라트비아서 사망…"사인은, 코로나19 합병증" (0) | 202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