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바다에 시신이 부표처럼 떠다녔다"

2022. 8. 26. 10:51■ 국제/전쟁과 평화

"그날 바다에 시신이 부표처럼 떠다녔다"

입력 2022.08.26. 09:02

 
[살아남은 기억들] (5) 여수 안도 이야포 미군 폭격 사건

[강변구 작가 / <그 섬이 들려준 평화 이야기> 저자(rilover@naver.com)]
그 여름날의 소년

2022년 8월 3일, 구름 한 점 없는 무더위의 절정이었다. 72년 전 이춘혁 옹이 열여섯 소년이었던 그날도 찌듯이 더웠다.

피난선에 타고 있던 일곱 식구 중에서 아버지, 어머니와 7살, 3살 여동생 둘이 세상을 떠났다. 살아남은 3남매 가운데 누나와 남동생도 차차 세상을 뜨고 이제 혼자 남았다. 그는 <이야포 미군폭격 사건>의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생존자다.

태양 아래 이야포 바다가 끓어오를 듯 반짝이고 해변 몽돌밭의 둥그런 돌덩이들이 뜨끈하게 달아올랐다. 마을로 이어지는 둔덕에 조성된 평화공원에서 올해로 다섯 번째 맞는 위령제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모두 천막 한 장의 그늘 아래로 피해 있었다.

올해 위령제는 특별했다. 그날 사건의 모습을 그림으로 담은 위령비가 세워졌기 때문이다. 위령비 제막식에 이어 사회자의 안내에 따라 참석자들이 헌화를 했다. 차례대로 위령비 아래 꽃을 놓고 잠깐 고개를 숙이고 돌아섰다. 

이춘혁 옹(88세)은 조심스레 몸을 일으켜 위령비에 다가갔다. 안내자가 건네준 흰 국화 한 송이를 받아 소년 시절 자신의 모습을 그려넣은 위령비 아래 놓고 묵념을 했다. 그의 묵념은 한참 동안 이어졌다.

 

▲2022년 8월 3일 위령제에서 위령비에 헌화하는 생존자 이춘혁 옹. ⓒ강변구
 

부산에서 출발한 피난선

1950년 8월 2일 오후, 목제 화물선에는 피난민 300여 명이 타고 있었다. 피난민들은 갑판과 아래 선실에 꽉 들어차 있었다. 승객들의 무게 때문에 뱃전의 난간이 수면에 거의 닿을 듯하였다. 부산으로 피난민들이 몰려들자 정부가 주변 섬으로 소개 명령을 내렸다. 당시 소년이었던 이춘혁 씨의 가족이 수용되어 있던 성남국민학교는 미군이 들어와 사용할 예정이었다.

7월 21일 피난민들은 부산항을 출발해 충무에서 일주일 머물고 욕지도에서 5일을 머물렀다. 정부는 피난민들을 다시 배 세 척에 나누어 이동시켰다. 배들은 서로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다가 헤어졌다. 

그중 한 척이 안도 해상을 지날 때였다. 고요한 바다에 총소리가 울렸다. 안도에 있던 영암경찰서 경찰이었다. 경찰은 깃발로 배에 정박하라는 신호를 보냈다. 피난선은 꼼짝없이 안도 이야포 안으로 들어와 정박해야 했다. 욕지도에서 출발하면서 배급을 못 받은 터라 피난민들은 목이 마르고 배가 고팠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경찰은 나타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그날 밤을 배 위에서 보냈다.

 

▲이춘혁의 동생 고 이춘송이 당시 피난선과 미군 폭격기를 그림으로 증언했다. 피난선에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폭격기 기종은 F-80으로 추정된다. ⓒ강변구
 

피난선에 기총소사한 미군 제트기

8월 3일 날이 밝았다. 피난민들은 어떻게든 허기를 채워야 했다. 이춘혁 소년은 아버지가 마을에서 구해 온 밥을 먹었다. 9시가 지났을 무렵이었다. 이야포 남쪽 소리도 쪽에서 제트기가 날아왔다. 모두 4대였다. 굉음을 내며 지나간 제트기는 소리도 쪽으로 되돌아가는가 싶더니 바다 위에서 원을 그리며 다시 이야포로 다가왔다. 비행기 4대가 나란히 호수같이 잔잔한 이야포 바다 위를 한 바퀴 빙 돌고 나서 피난선으로 향했다. 그러면서 대형으로 일자로 바꾸더니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곤두박질치며 피난선에 기관총을 발사했다.

비행기 앞코에 기관총 6정이 달려 있었는데 어른 손가락보다 큰 총알을 숫제 쏟아붓듯이 내리쏘았다. 기관총이 피난선을 훑고 지나가자 사람들이 그 자리에서 픽픽 쓰러졌다. 뱃전에 있던 사람은 바다로 떨어지고 쪼그리고 숨은 사람은 바닥으로 고꾸라졌다. 이어서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비행기까지 총알을 쏟아부으며 지나갔다. 

사람들의 피가 튀고 몸에서 살이 뭉텅이로 떨어져 나갔다. 사람들이 갑판 아래 선원실로 숨어들었다. 하지만 내려가는 계단에도 이미 시체가 쌓여 있었다. 비행기는 다시 돌아와 아까처럼 총알을 쏟아부었다. 총알이 갑판을 뚫고 들어와 선실로 숨어든 사람들까지 쓰러트렸다.

피난민들은 미군 비행기가 바다에 뜬 다른 작은 배들과 뭍은 놔두고 피난선에만 총을 쏜다는 걸 깨달았다. 살기 위해서는 무조건 바다를 헤엄쳐 몽돌밭 해변으로 올라가야 했다. 제트기가 세 번째로 날아왔다. 이번에는 4대가 옆으로 나란히 하고 다가왔다. 사격 반경이 넓게 펼쳐져 있었기에 기관총이 다시 불을 뿜는다면 피난선과 물에 뜬 사람들은 피할 길이 없었다.

피난민들은 수영할 줄 몰라도 물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이춘혁 소년도 배에서 뛰어내렸다. 소년은 섬 주민들의 멸치잡이 뗏목을 배에 붙여서 막내 동생을 업은 엄마를 태웠다. 그러나 사람들이 너무 많이 타는 바람에 뗏목이 뒤집혀 엄마가 물에 빠졌다. 간신히 엄마를 뗏목에 다시 붙들어 놓았지만 업은 아기와 물을 먹은 미군 모포 포대기의 무게 때문에 뗏목에 올라탈 수가 없었다.

 이춘혁 소년은 몸을 돌려 해변까지 헤엄쳐 올라왔다. 비행기가 총을 쏘지 않고 그냥 지나갔다. 그리고 한 번 더 이야포 상공을 선회하더니 처음 나타났던 소리도 방향으로 멀어져갔다.

이야포 바다가 다시 고요해졌다. 이춘혁 소년과 남동생, 누나가 해변에 남았다. 다른 식구들은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와 7살 여동생은 배에서 총을 맞아 바다에 빠졌고 막내를 업은 엄마는 끝내 물속에서 나오지 못했다. 이 폭격으로 피난선에 타고 있던 350명 중 150명이 죽고, 50여 명이 다쳤다.

 

▲안도 이야포. 생존자들은 이야포 몽돌해변에서 서고지산으로 옮겨가 피신했다. 이후 경찰에 의해 피난선과 시신이 불태워지고 피난민들은 소리도를 거쳐 거제도로 이송되었다. ⓒ강변구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진실

<이야포 미군 폭격 사건>은 오랫동안 묻혀 있었다. 2005년에 이춘혁의 동생인 고 이춘송이 진실화해위원회에 진실규명을 신청했고, 2010년에 진실규명을 받았다. 결정 요지는 이랬다. '정부의 명령에 따라 부산에서 남해안 도서로 소개되어 피난민 배에 탑승 중인 민간인이 미군의 폭격으로 희생되었다. 가해 주체는 미군 소속 전폭기로 추정되나, 사건과 관련된 직접적인 폭격기록이나 관련문서의 부족으로 특정할 수 없다.'

의문점이 남을 수밖에 없다. 당시 안도에 있던 영암경찰서 경찰은 폭격 전후로 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을까? 미군 제트기들은 다른 목적지를 향해 가던 것이 아니라 정확히 안도 이야포를 향해 곧장 날아와서 폭격을 하고 돌아갔다. 민간인이 탑승한 피난선을 폭격의 목표물로 삼은 것이 분명하다. 미군 폭격기에게 피난선의 좌표를 보낸 주체는 누구인가?

 

여수 시민들에 의해 다시 살아나는 기억

이야포 사건은 오랫동안 묻혀 있었다. 유족인 이춘혁과 이춘송 형제는 김영삼 문민정부가 들어서고 나서야 안도 이야포 마을 사람들을 만나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2010년 진실규명 결정을 받고서도 이야포 사건은 조명받지 못했다. 2017년에 이르러서야 지역 언론 <여수넷통뉴스>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동안 변변한 위령제 한 번 지낼 수 없었는데 2018년에 처음으로 조촐하게 위령제가 열리고 피난선 잔해를 수색하기 시작해 현재 피난선으로 추정되는 잔해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여수 출신의 소설가 양영제는 오랫동안 이야포 사건을 취재했다. 피해자들과 안도 주민들을 비롯해 사건의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만난 사람이 수없이 많았다. 그때 일을 쉬쉬하는 분위기 탓에 낚시꾼으로 위장하고서 주민들에게 사건에 대해 묻기도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야포 사건을 최초로 다룬 르포소설 <두 소년>이 2022년에 출간되었다. 소설의 한 구절을 보면 이야포에서 희생된 분들의 넋이 여전히 바다에 갇혀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송장들이 입은 흰옷이 부풀어 올라 부표처럼 보였다. 부표 같은 송장들은 들물 때는 서고지로 밀려와서 날물 때는 동고지 쪽으로 두둥실 떠갔다가 다시 서고지 쪽으로 돌아와 이야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119쪽)

지난 8월 3일 처음으로 민관 합동 위령제가 개최되었고, 이어서 18일 피해자 유족과 이야포 미군폭격 사건 위령사업 추진 위원회(위원장 심명남)가 여수시에 '진실규명 신청서'를 접수했다. 남은 진실을 밝혀내는 것은 제2기 진실화해위원회의 몫으로 남았다.

<참고 자료>
진살화해위원회 보고서 <호남지역 미군관련 희생 사건>, 2010.
양영제, <두 소년>, ㈜북이십일 아르테, 2022. (위 기사의 폭격 장면은 이 책의 내용에 따랐습니다.)
심명남, "여수판 노근리학살, 이야포 미군폭격을 아시나요", 오마이뉴스(2018. 8. 4)
여수넷통뉴스(www.netongs.com)의 이야포 관련 기사들

[강변구 작가 / <그 섬이 들려준 평화 이야기> 저자(rilover@naver.com)]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