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에 갯벌 식물 '새섬매자기' 심는 이유는..멸종위기 '큰고니'를 위해

2022. 8. 15. 12:24■ 자연 환경/식물 꽃

낙동강 하구에 갯벌 식물 '새섬매자기' 심는 이유는..멸종위기 '큰고니'를 위해 (daum.net)

 

낙동강 하구에 갯벌 식물 '새섬매자기' 심는 이유는..멸종위기 '큰고니'를 위해

낙동강 하구는 매년 3000여마리의 멸종위기 조류 큰고니가 겨울마다 찾아오는 철새 도래지였다. 넓은 갯벌이 형성돼 있어 먹이가 풍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낙동강 하구를

news.v.daum.net

낙동강 하구에 갯벌 식물 '새섬매자기' 심는 이유는..멸종위기 '큰고니'를 위해

김기범 기자 입력 2022. 08. 15. 12:18 

 
멸종위기 철새 큰고니.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낙동강 하구는 매년 3000여마리의 멸종위기 조류 큰고니가 겨울마다 찾아오는 철새 도래지였다. 넓은 갯벌이 형성돼 있어 먹이가 풍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낙동강 하구를 찾는 큰고니의 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난개발과 하구둑으로 인한 염분 농도 불균형 등으로 큰고니가 먹이로 삼는 식물인 ‘새섬매자기’ 군락지가 급속도로 줄어든 탓이다.

환경부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새섬매자기 군락지 회복을 위해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광역시 낙동강하구에코센터와 함께 오는 16일 오후 낙동강 하구 인근 명지갯벌에서 겨울철새 고니류(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의 먹이식물인 새섬매자기를 심는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의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부 제공.

 

새섬매자기는 소금기에 잘 견디는 성질이 있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주로 갯벌 등의 바닷가 습지에 분포한다. 이 식물의 땅속에서 자라나는 덩이줄기는 겨울철새인 고니류의 중요한 먹잇감이 된다.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은 대표적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중 하나로, 고니류의 먹이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하지만 최근 십수년 사이 새섬매자기 군락지 면적은 3분의 1가량으로 감소했다. 2005년 75만2719㎡였던 새섬매자기 군락지 면적은 2018년 현재 26만6184㎡까지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부산시는 큰고니 핵심 서식지를 관통하는 교량을 추가 건설을 추진하면서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필요성이 입증되지 않은 교량을 환경 훼손을 무릅쓰고 지으려하는 탓이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복원을 추진 중으로 작년에는 명지갯벌과 을숙도 남단에 모종 5만 포기를 심었고, 올해는 6만 포기를 심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