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달 표면에 오성홍기 꽂아, 성조기는 몇 개나 남아 있을까?

2020. 12. 5. 09:37■ 우주 과학 건설/宇宙

중국 달 표면에 오성홍기 꽂아, 성조기는 몇 개나 남아 있을까?

임병선 입력 2020.12.05. 06:51 수정 2020.12.05. 07:41

[서울신문]

지난달 24일(이하 현지시간) 발사돼 지난 1일 달 표면에 착륙했던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3일 달의 토양과 암석 채취 임무를 완수하고 이륙하기 직전 국기인 오성홍기를 꽂았다. 중국은 미국 우주인 버즈 올드린이 성조기를 처음 꽂고 1972년까지 다섯 개의 성조기를 더 꽂은 뒤 51년 만에 달에 국기를 꽂은 두 번째 나라가 됐다.중국 국가항천국(CNSA) 제공 EPA 연합뉴스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嫦娥) 5호가 달 표면에 국기인 오성홍기를 꽂았다. 미국 우주인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성조기를 꽂은 뒤 51년 만에 중국이 달에 국기를 꽂은 두 번째 나라가 됐다. 그것도 무인 탐사선이 꽂은 것이라 색다르긴 하다.

중국 국가항천국(CNSA)은 창어 5호 이륙기가 달 토양과 암석 샘플을 싣고 3일(이하 현지시간) 밤 11시 10분 달 표면을 이륙했다고 밝혔다. 창어 5호의 착륙기에 붙어 있던 상승기(이륙기)가 달 표면을 이륙하기 직전, 착륙기는 오성홍기를 펼쳐 보였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국이 처음으로 지구 밖 천체에서 이륙에 성공했으며, 중국 항공우주 역사상 처음으로 달 표면에서 실물 국기를 펼쳐 보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 당국은 달 이륙 사실은 곧바로 밝혔지만 오성홍기 얘기를 한참 지난 뒤 보도해 그 배경이 궁금하기도 하다.

중국 탐사선이 달에 착륙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창어 3호가 2013년 12월 14일 달에 안착했고 창어 4호가 지난해 1월 2일 달 뒷면에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착륙했다. 앞서 두 차례 달 탐사선과 달리, 창어 5호는 특수 제작된 가로 200㎝, 세로 90㎝ 크기에 무게 1㎏의 오성홍기를 가져갔다. 제작사는 혹독한 달 환경에서 깃발을 원활히 펼치기 위해 인공위성 등의 태양광 패널을 펼칠 때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차가운 기후에도 보호될 수 있는 직물을 이용했다. 창어 3·4호 때는 착륙기와 탐사 로버에 국기가 그림으로 코팅돼 있었다.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3일(현지시간) 달 표면을 이륙하는 과정에 파노라마 카메라가 포착한 사진. 오른쪽에 오성홍기가 펄럭이지도 않고 똑바로 펼쳐져 있는 것이 확인된다.CNSA 제공 신화 연합뉴스

성조기는 아폴로 탐사 계획이 중단된 1972년까지 다섯 개가 더 달 표면에 꽂혀졌다고 영국 BBC는 전했다. 201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위성 사진을 분석하니 다섯 깃발 모두 그대로 꽂혀 있었는데 전문가들은 태양 빛 때문에 하얗게 색이 바랜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올드린이 꽂은 성조기는 착륙 모듈에 너무 가까운 곳에 꽂힌 바람에 모듈이 이륙했을 때 날아가 버린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난달 24일 중국 남부 하이난성에서 발사돼 지난 1일 밤 11시 11분 달 앞면의 화산 평원인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창어 5호 탐사선은 착륙기와 이륙기가 합쳐져 있는데 이륙기가 이륙할 때 착륙기가 발사대 역할을 했다. 달 표면에서 수집한 토양과 암석 표본은 이륙기에 실린 진공 컨테이너에 밀봉돼 포장됐다. 이륙기는 달에서 200km 떨어진 궤도에 대기 중인 궤도 모듈과 도킹한다. 이후 재진입 캡슐이 달 샘플을 싣고 중순쯤 중국 북부 네이멍구 자치구의 지정 장소로 돌아온다.

CNSA는 창어 5호가 지구에서 명령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륙 임무를 수행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착륙기와 이륙기 조합체가 경사지와 평지를 스스로 구분하고 고도를 정확히 맞춘 후 이륙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지구에서 고도와 속도 등 명령을 받고 움직이면 시간 지연이 발생해 이륙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었다고 당국은 설명했다.

1969년 미국 우주인 버즈 올드린이 미국은 물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표면에 성조기를 꽂은 뒤 바라보고 있다.NASA 제공 자료사진

1971년 미국 우주인 제임스 어윈이 성조기를 꽂은 뒤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로이터 자료사진

달을 차지하려는 경쟁은 가열되고 있다. 중국의 우주 굴기를 견제하기 위해 미국은 ‘아르테미스’ 달 탐사 계획을 출범시키고 일본, 호주 등 동맹 7국을 참여시켰는데 헬륨3 등 달 자원 소유권을 누가 갖느냐를 정하는 등 달을 비롯한 우주 경제 규정을 정하는 데 미국이 주도하려는 목적을 두고 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신문 주요 뉴스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댓글 319MY

댓글 입력

  • 추천댓글도움말
  • 찬반순
  • 최신순
  • 과거순

 

 

  • 김 진성2시간전

    이젠 달까지 오염시켰네 슬프다

    답글1댓글 찬성하기120댓글 비추천하기12

  • 털레콤2시간전

    근데 미국 국기 그림자가 반대이네

    답글14댓글 찬성하기62댓글 비추천하기55

  • free2시간전

    재수없게 아침부터 더러운 꼴을 다보네

    답글2댓글 찬성하기73댓글 비추천하기12

더보기

새로고침

 

많이본 뉴스

포토&TV

 

이 시각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