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30. 21:06ㆍ■ 자연 환경/재해 재난
https://v.daum.net/v/20240730180903186
"文정부 때 중단됐는데"…1조6000억 날리더니 '결단' 내렸다
곽용희2024. 7. 30. 18:09
기후대응댐 14개 짓는다
다목적댐 건설
14년 만에 추진
한강권역 4곳 등
후보지 발표
정부가 14년 만에 다목적댐 건설을 추진한다. 기후 변화로 극한 홍수와 가뭄이 빈번해진 것에 대응해 ‘물그릇’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의 대규모 댐 건설 중단 선언을 6년 만에 철회하고 국가 주도의 대규모 치수 대책에 나서는 것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규 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권역별로 한강 권역 4곳, 낙동강 권역 6곳, 금강 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 권역 3곳이다. 용도별로는 다목적댐 3곳, 용수전용댐 4곳, 홍수조절댐 7곳이다. 이번에 신설되는 댐에는 ‘기후대응댐’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홍수 조절, 용수 공급 등 두 개 이상 기능을 가지는 다목적댐은 한강 권역의 강원 양구 수입천(1억t 규모)과 경기 연천 아미천(4500만t), 금강 권역의 충남 청양 지천(5900만t)에 지어질 예정이다. 국가 주도의 다목적댐 건설은 2010년 착공한 보현산 다목적댐 이후 14년 만이다.
용수전용댐은 한강 권역의 강원 삼척 산기천(100만t), 낙동강 권역의 경북 청도 운문천(660만t), 섬진강 권역의 전남 화순 동복천(3100만t) 등에 건설된다. 홍수조절댐은 낙동강 권역의 경북 김천 감천(1600만t), 섬진강 권역의 전남 순천 옥천(230만t) 등이 후보지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이번 댐 건설은 기후위기로 빈번해진 극한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고 국가 전략산업에 필요한 미래 용수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3년간 극한 호우로 인한 피해액은 1조6000억원이 넘는다. 지난해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 같은 인재도 잇따르면서 최근 3년간 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는 85명에 이른다.
댐 건설 방치하다 호우 피해 1.6조…'물그릇' 키워 극한기후 대응
文정부 중단 6년 만에 재개…용수 공급 능력도 대폭 강화
국내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대규모 치수 대책은 2010년 이명박 정부 때 ‘4대강 사업’이 종료된 이후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환경단체와 일부 지역 주민이 반대하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2018년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을 선언해 다목적 댐은 14년 동안 건설되지 못했다.
○이상 기후 현상 늘며 홍수 피해 급증
정부가 이런 기조에서 벗어나 30일 신규 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며 대규모 치수사업에 다시 나서기로 했다. 한국에서도 홍수와 가뭄 등 ‘극한 기상현상’이 빈번해지고 있어 물그릇을 확대하는 게 당면 과제가 됐기 때문이다.
당장 올해만 해도 경기 파주, 충남 부여, 전북 익산 등에서 7월 한 달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절반을 넘어설 정도의 ‘극한 폭우’가 쏟아졌다. 이로 인해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면서 전국 15개 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2023년 경북 예천군은 홍수로 인해 3명의 인명 피해와 117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는데 용두천댐이 건설되면 200년 빈도의 강우가 오더라도 시가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치수 정책을 방치해 물그릇이 쪼그라들어 가뭄 피해 역시 커졌다. 2022년엔 남부지방에서 기상 관측 이후 가장 긴 227일 동안의 가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산업용수 부족으로 국가산업단지의 공장 가동이 중단될 뻔한 중대 위기 상황도 벌어졌다.
환경부는 기후대응댐 건설로 치수 능력과 미래 용수 공급 능력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댐별로 한 번에 80~220㎜의 비가 오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홍수 방어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또 댐 건설로 새롭게 공급되는 연간 2억5000만t의 물을 활용해 극한 가뭄은 물론 용인 반도체산업단지 같은 국가전략산업 부문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물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김 장관은 “이번에 발표한 후보지에 무조건 댐 건립을 강행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최근 급속한 기후 변화를 감안할 때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댐 건설은 지금 시작해도 완공까지 10여 년 소요된다”며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환경 규제는 최소화
환경부는 문재인 정부 당시 금강과 영산강 보 개방·해체 결정이 무리하게 이뤄졌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 발표를 계기로 댐 신설과 하천 준설 등 치수 대책을 추진해 왔다. 지방자치단체들도 댐 건립 필요성에 공감하며 적극 호응했다. 환경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6월 이후 17개 지자체에서 21곳에 댐을 신설해달라고 신청했다. 이번에 선정된 14개 후보지 중 9곳은 지자체가 건설을 건의했고, 8개는 지자체가 댐을 지을 예정이다.
환경부는 댐 건설에 드는 비용은 구체적인 위치와 규모가 나온 이후 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추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최근 준공된 김천 부항댐(5400만t)은 사업비 약 5560억원이 들었다. 김 장관은 “착공 시기는 지역별, 사업별로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규모가 작은 댐은 2027년엔 가능할 전망”이라며 “완공까지는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8월부터 지역 설명회, 공청회 등을 열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관계기관 협의를 거칠 방침이다. 협의가 마무리되면 하천 유역 수자원관리계획에 댐 후보지를 반영하고 댐별로 타당성 조사 등 후속 절차를 거친 후 댐 위치, 규모, 용도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환경단체 반발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이날 환경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은 성명문을 통해 “기후위기를 볼모로 토건산업을 살리기 위한 기후문맹적 발상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라고 했다.
환경부는 이번 기후대응댐 건설로 발생하는 규제와 수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건설이 추진되는 댐 중 저수용량이 가장 큰 강원 양구 수입천 다목적댐(1억t)은 수몰되는 민간 가옥이 없게 하고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도 없게 한다. 기후대응댐 주변에 도로, 수변공원, 캠핑장 등 댐 지역 주민 친화적 시설에 투입하는 예산도 대폭 상향할 방침이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밥 지을 쌀이 없다" 날벼락…'초유의 사태' 벌어졌다 [김일규의 재팬워치]
- 삼성 '게임체인저' 기대감 폭발…위기에도 '3조' 파격 투자
- "LH 아파트에 우리 브랜드 안 된다"…입주 앞두고 '날벼락'
- "이제 못 사먹겠다" 등 돌린 서민들…맥도날드 '초비상'
- "여행 가려면 돈 벌어야지" 남편의 문자…'순살 아파트' 낳았다
- "연 5500조 날리고 금융위기까지…" 한국 향한 '무서운 경고'
- "남편이 더 좋아해"…한국서 돈 쓸어가는 '중국 이모님'
- '역대급 엔저'에 관광객 넘쳐나더니…日 '초비상' 걸렸다
- "바이든 정부, 대선 앞두고 국채시장 조작"…발칵 뒤집힌 美
- "이걸 어떻게 써요"…85세 노인, 통장에 든 돈이 '깜짝' [김일규의 재팬워치]
'■ 자연 환경 > 재해 재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자만 7만5000명' 역대 최악 지진… 갈등의 온상 덮쳐 (0) | 2024.10.08 |
---|---|
“끔찍한 풍경” 강릉 바다가 변했다…할 말 잃게 만든 이 사진 (0) | 2024.07.23 |
목만 내민 채 “너 죽어 오지 마”...아들은 ‘파도’ 뚫고 엄마 살렸다 (0) | 2024.07.11 |
방송 중 오열… 대전 폭우 의인 "바다가 된 마을서 헤엄치며 구출" (0) | 2024.07.11 |
‘100~200년에 1번꼴’ 1시간에 100㎜ 기록적 폭우…충남·충북서 3명 숨져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