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6. 16:28ㆍ■ 大韓民國/문화재 사랑
https://v.daum.net/v/20240626160300880
수백년간 잠들었던 ‘바닷속 타임캡슐’ 열렸다...고려청자·고선박 파편 무더기 발굴
이향휘 선임기자(scent200@mk.co.kr)2024. 6. 26. 16:03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다양한 유물 건져
2020년 첫 발견신고 후 4년째 발굴중
해양유물연구소 “고선박 발굴 기대 만발”
“하잠(잠수하십시오). ”
26일 전북 군산 선유도 선착장에서 2.4km 떨어진 바지선 위. 10인승 보트를 타고 도착한 바지선은 뜨거운 햇볕을 가리는 검은 차광막이 넓게 드리워진 채 푸른 파도에 몸을 살랑이고 있었다. 바지선 두 개를 연결한 직사각형 가판 위 통제실에선 분주한 목소리가 오갔다. 정헌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잠수부 2명이 입수하자마자 교신을 시작했다. 10분쯤 지났을까. 수심 7m 바닷속을 비추는 영상에 기다란 목재가 잡혔다. 그토록 고대하던 고려시대 고선박의 흔적일까.
국가유산청은 이날 선유도 수중 발굴 현장을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 지난 4월부터 재개한 제3차 선유도 수중 발굴 현장이다. 선유도를 포함한 고군산도 일대는 지금까지 유물 1만6000여점을 쏟아낸 ‘바닷속 타임캡슐’로 주목을 끌고 있다. 선유도 해역은 2020년 민간 어부의 첫 발견 신고 후 지난 4년간 탐사·발굴 조사를 벌인 결과 청동기시대 마제석검부터 삼국시대 유물, 고려청자 다발과 조선백자 등 900여점을 출수했다. 폭넓은 시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유물이 나온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잠수한 지 40분이 지났을 즈음 “올라온다”는 무전기가 터졌다. 지난 2021년 탐사 조사 때 고려청자를 무더기로 발굴한 김태연 잠수사의 손엔 영상에서 보였던 목재가 딸려왔다. 1.5m 길이로 고려시대 선박 부속구로 추정된다. 바닷벌레가 파먹은 탓인지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같이 잠수한 나승아 연구원의 그물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사슴뿔과 자기 파편들이 수북이 담겨 있다. 이규훈 연구소 수중 발굴과 과장은 “고려청자 다발을 비롯해 고선박의 흔적을 볼 수 있는 노나 닻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월부터 오는 10월까지 7개월간 진행되는 선유도 발굴에는 총 8명의 잠수사가 투입된다. 2인 1조로 하루에 4번 물속 탐사를 떠난다. 날씨가 좋으면 탐사 시간은 한 번에 50분 정도. 4개의 각종 줄과 호스를 장착하고 등엔 공기통이, 얼굴엔 통신과 영상·라이트 기능을 모두 갖춘 밴드 마스크를 쓴다. 거센 물길에 떠밀리지 않기 위해 몸에 짊어진 총중량은 30kg이다.
바지선 주변의 수심은 3~7m로 비교적 얕다. 김태연 잠수사는 “수심은 낮지만 갯벌이라서 시야가 흐려 작업하기가 쉽지 않다”며 “물살도 오늘은 제법 거센 편”이라고 말했다. 선유도 말고도 인근 무녀도와 신시도 등 주변에선 탐사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바지선에서 1km 떨어진 곳에 잠수사와 연구사들이 먹고 자고 생활하는 수중발굴선 누리안호가 보인다. 누리안호는 최소 수심 10m는 돼야 발굴이 가능하다. 이 과장은 “우리나라 수중 발굴 역사는 1970년대 신안 해저 조사를 시작으로 50년 남짓 된다”며 “신안과 고선박 5척이 발견된 태안 마도에 이어 선유도 일대는 가장 주목받는 수중 발굴 지역”이라고 말했다.
바지선으로 끌어올린 유물은 흙을 제거한 뒤 실측 후 사진 촬영을 끝낸 다음 연구소 유물과학팀에 신속히 인계된다. 앞으로 얼마나 발굴을 이어갈지는 올해 어떤 유물이 나올지에 달려 있다. 잠수사와 연구사들은 이구동성으로 “선체가 나오기를 손꼽아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유도 해역은 강진과 해남 등에서 만든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를 실은 무역선이 고려 수도가 있었던 개경과 강화도, 조선 한양으로 가는 뱃길이었다. 주변에 암초들이 굉장히 많아 난파선이 적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1872년 만경현에서 제작한 ‘고군산진 지도’에는 “조운선을 비롯하여 바람을 피하거나 바람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머무는 곳”이라 기록됐다. 또한 송나라 사신이 1123년 고려 방문 기록을 담은 ‘선화봉사고려도경’에 따르면 고려로 오는 사신이 묵었던 객관인 군산정이 있었던 곳으로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선박들의 중간 기착지이도 했다.
군산(선유도)=이향휘 선임기자
갯벌 속에 묻혀 있는 양질의 청자밭 갯흙 속에 묻힌 유물을 확인하기 위해 고랑을 파는 조사원. 정헌 국립해양유물연구소 학예연구사가 26일 군산 선유도 해역에서 출수된 고려 시대 선박 부속구로 추정되는 1.5m 목재 끈을 풀고 있다. <국가유산청> 26일 군산 선유도 해역 바지선에서 한 잠수사가 입수전 기계를 점검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26일 국가유산청이 선유도 해역 바지선 위에서 수중발굴 언론공개회를 열고 있다. 지난 4년간 출수된 유물은 선사시대 마제석검부터 고려청자, 조선백자까지 다양하다. <국가유산청>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닭다리 뜯으니 하얀 물체가 ‘후두둑’…통닭서 나온 이것에 ‘경악’ - 매일경제
- “초기진화, 애초부터 불가능”...4년전 위험 경고에도 리튬용 소화기 미비 - 매일경제
- 반포 아리팍 110억 최고가 매수자는 뮤지컬 배우 홍광호였다 - 매일경제
- “여기가 동남아야 한국이야?”...처음 발견된 ‘이놈’ 정체 뭔가 보니 - 매일경제
- [단독] SK이노·SK E&S 합병 사내 독립기업 체제로 - 매일경제
- “바뀐 분위기, 아직 못 알아채네”…주가 부진한 ‘이 종목’ 실적은 쾌속질주 - 매일경제
- “이혼 소송 아내에게 재산 못 줘”…19억 재산 빼돌린 50대 남편 - 매일경제
- 민주당, 정부보다 통큰 ‘K칩스법’ 꺼냈다…“반도체 100조 과감하게 지원” - 매일경제
- 러닝머신 타던 여성 ‘봉변’…등 뒤 열린 창문으로 떨어져 추락사 [영상] - 매일경제
- 류현진도 못한 경험, 김하성이 해본다...현지 인기 입증 - MK스포츠
'■ 大韓民國 > 문화재 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천년 전 창·화려한 장신구…故 이건희 기증품 대구서 만나볼까 (0) | 2024.07.08 |
---|---|
현존 최고 신숙주 공신 초상화 '국보' 지정 예고 (0) | 2024.07.03 |
김건희 여사의 공덕?…고승의 사리가 사리구 없이 반환된 배경 (0) | 2024.06.17 |
문화재를 담고 있는 문화재, 보화각 (0) | 2024.05.26 |
'보물이 와르르' 서울 한복판서 감탄…400살 건물 뜯어보니 (0)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