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21. 17:15ㆍ■ 菩提樹/菩提樹
♡♡♡♡♡♡♡♡♡♡♡♡♡♡♡♡
■ 20240205 MON~20240524 FRI 밀양시청 1층
20240205 MON ~
⇨ 2024 MY ARTIST
밀양시(密陽市)
위치 : 경상남도 북동부
인구 : 101,956 (2024)
면적 : 799.01㎢
행정구역 : 2개읍 9개면 5개동
사이트 : http://www.miryang.go.kr/main/
☛ 요약
경상남도 북동부에 있는 시.
1995년 밀양시·군의 통합으로 지금에 이른다.
낙동강과 밀양강 유역에는 평야를 이루며, 북쪽에는 산지가 솟아 있다.
부산-대구 간의 교통의 요지이며 경상남도의 곡창지대이다.
영남루·표충사·아랑각 등의 명승지와 가지산도립공원·층층폭포·추화산·밀양강 등의 자연관광지가 많다.
면적 799.01㎢, 인구 101,956(2024).
경상남도 북동부에 있는 시.
1995년 밀양군과 통합시를 이루었다.
부산과 대구간의 교통의 요지이며, 도내의 주요 곡창지대이다.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유물·유적이 많아 영남지방의 일일관광지이다.
삼랑진읍·하남읍·부북면·상동면·산외면·산내면·단장면·상남면·초동면·무안면·청도면·내일동·내이동·교동·삼문동·가곡동 등 2개읍 9개면 5개동이 있다(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은 8개).
시청소재지는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로이다.
면적 799.01㎢, 인구 101,956(2024).
☛ 연혁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일찍부터 인간의 거주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밀양은 삼한시대에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던 곳으로 비정되고 있다.
신라 때에는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의 한자 표기)이 설치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고쳐졌고, 고려시대에 들어 995년(성종 14)에 밀주(密州)로 개칭했다.
1275년(충렬왕 1)에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 경주)에 병합되었다.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으로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
별호는 응천(凝川)·밀산(密山)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6년에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 군의 중심지인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89년에 밀양시로 승격되어 밀양군에서 분리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대대적인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밀양군과 중심도시기능을 담당했던 밀양시가 하나로 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인 밀양시가 되었다(→ 밀양군).
1998년 용활동이 내일동에 병합되었다.
☛ 인구
통합 전 밀양군은 해방 후 조금씩 증가해오던 인구가 1965년 21만 5,173명을 고비로 계속 줄어 전체적으로 인구유출지역이었다.
1970년 19만 5,429명, 1985년 15만 1,805명으로 1980년대 중반까지는 비교적 인구감소율이 낮았으나 1989년 밀양시가 신설되면서 일시에 많은 인구가 빠져나갔다.
1990년 인구는 7만 9,958명으로 1970~90년의 20년 동안 59%나 감소했다.
한편 통합 이전의 밀양시는 1931년 읍으로 승격된 이래로 인구가 꾸준히 늘었다.
인구추세를 보면 1960년 3만 6,021명, 1970년 4만 2,165명, 1980년 4만 6,630명, 1990년 5만 2,995명으로 1960~90년의 30년간 약 47%의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통합시를 이룬 1995년의 인구는 13만 2,588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2000년 12만 4,936명, 2010년 11만 1,472명으로 감소추세가 이어졌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0만 1,956명이다.
행정구역별 인구분포를 보면 읍·면지역에 시 전체인구의 56%가 거주하며, 동지역에는 44%가 분포하고 있다.
1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은 삼문동·내이동 등이며 청도면(1,710명)에 가장 적은 인구가 분포한다(2024).
☛ 연혁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일찍부터 인간의 거주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밀양은 삼한시대에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던 곳으로 비정되고 있다.
신라 때에는 추화군(推火郡:밀벌 또는 미리벌의 한자 표기)이 설치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고치고 밀진현(密津縣)·상약현(尙藥縣)·오악현(烏嶽縣:또는 烏兵縣)·형산현(荊山縣)·소산현(蘇山縣)을 영현으로 관할했다.
고려시대에 들어 995년(성종 14)에 밀주(密州)로 개칭했다.
고려초에 오악현·형산현·소산현은 청도군으로 이관되었다.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이 되어 창령군·청도군과 현풍현·계성현(桂城縣)·영산현(靈山縣)·풍각현(豊角縣)을 속군현으로 포함했다.
1275년(충렬왕 1)에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경주)에 병합되었다.
후에 현으로, 1285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곧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으로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
1518~22년에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별호는 응천(凝川)·밀산(密山)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대구부 밀양군, 1896년에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 군의 중심지인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31년에 밀양읍으로, 1989년에 밀양시로 승격되어 밀양군에서 분리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대대적인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밀양군과 중심도시기능을 담당했던 밀양시가 하나로 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인 밀양시가 되었다(→ 밀양군)
⇨ 출처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2363b
♡♡♡♡♡♡♡♡♡♡♡♡♡♡♡♡


■ 20230427 THU~20240428 밀양아리랑아트센터

20230427 THU ~
⇨ MY 아티스트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위치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공원로 112 (교동)
밀양아리랑아트센터는 밀양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다목적 공연장이다. 공연장은 765석의 대공연장과 236석의 소공연장, 연습실(중,대), 출연자 대기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체기획 및 대관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별관인 전시관은 1,261㎡ 규모로 밀양아리랑 상설전시관과 밀양아리랑 전수관, 전시실 등이 있으며, 밀양아리랑상설전시관의 경우는 상시 개방되어 있고, 전시실의 경우는 자체 전시 및 대관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 菩提樹 > 菩提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orgensen Pier (0) | 2024.04.27 |
---|---|
■ Kushiro Park(Burnaby Mountain) (0) | 2024.04.09 |
■ 갑진년 靑龍(청용)의 해 설날입니다 (0) | 2024.02.09 |
■ 2024 謹賀新年/근하신년 (0) | 2024.01.01 |
■ 2023-2024 送舊迎新/송구영신 (0) | 202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