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1. 11. 10:42ㆍ■ 정치/정치 선거
`대통령감은` 민주층 50% "이재명" 국힘층 31% "한동훈"…서울선 韓 18% 李 17% (daum.net)
`대통령감은` 민주층 50% "이재명" 국힘층 31% "한동훈"…서울선 韓 18% 李 17%
한기호입력 2023. 11. 10. 17:06수정 2023. 11. 10. 17:10
오세훈·홍준표 4% 이준석 3% 김동연·안철수·이낙연 2% 원희룡 1%…유보 44%
李 30~50대·호남·경인·PK 강세, 韓 60대↑·서울·TK 비교우위…非尹 약진세
![](https://blog.kakaocdn.net/dn/4cehf/btsAbmGMkgR/zJ9ztnkAaMnTZEEicwbUj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ME0Q/btsz83BKy90/d0SPnfXkLyHI4kkP42GbPK/img.jpg)
소위 '장래 대통령 감'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 복심'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각각 야권·여권 선두 자리를 이어갔다. 여권 비주류로 평가받는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 반윤(反윤석열) 이준석 전 당대표의 추격 양상이 보였다.
한국갤럽이 이날 공표한 11월2주차 주례여론조사 결과(자체조사·지난 7~9일·전국 성인 최종 1001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통신 3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전화면접·응답률 14.0%·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를 보면 자유응답 형식으로 설문한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에서 이재명 대표 21%, 한동훈 장관 13% 순으로 높은 응답이 나왔다. 지난달 조사(10월 10~12일) 대비 두사람 모두 1%포인트씩 내린 수치다.
4선의 오세훈 시장은 4%를 유지했고 홍준표 시장은 1%포인트 오른 4%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 및 친윤(親尹)계와 최고조로 각 세우고 있는 이준석 전 대표는 2%포인트 오른 3%다. 민주당 소속 김동연 경기도지사,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이낙연 전 국무총리(문재인 정부) 2%로 동률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로 뒤를 이었다. 기타 인물은 4%로 나타났다. 다만 의견 유보층이 44%로 지난달 대비 2%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대다수를 차지했다.
응답자 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이재명 38% 김동연 4% 이준석 3%), 인천·경기(이재명 20% 한동훈 12% 오세훈 4%)와 대전·세종·충청(이재명 26% 한동훈 15% 홍준표 5%), 부산·울산·경남(이재명 22% 한동훈 15% 홍준표·이준석 4%) 등에서 이 대표가 강세를 보였다. 서울(한동훈 18% 이재명 17% 오세훈 6%)에선 한 장관이 이 대표와 박빙을 이뤘고 대구·경북(한동훈 14% 홍준표 10% 이재명 9%)에선 1·2위권을 여권 잠룡들이 가져가기도 했다.
연령별론 18~29세(이재명 9% 한동훈·홍준표 7% 안철수·이준석 6%)에선 두자릿수 지지율을 보이는 인사 없이, 주로 여권으로 지지가 분산됐다. 30대(이재명 20% 한동훈 6% 김동연·이준석·홍준표 3%), 40대(이재명 38% 한동훈 9% 이준석 5%), 50대(이재명 27% 한동훈 12% 홍준표 5%)에선 이 대표가 넉넉하게 선두였다. 60대(한동훈 24% 이재명 11% 오세훈 6%)와 70대 이상(한동훈 22% 이재명 17% 오세훈 6%)의 경우 한 장관이 선두에 올랐다.
지지정당별 국민의힘(가중값 373명)에선 한 장관 31%, 오 시장 9%, 홍 시장 7%, 이 전 대표 4%, 원희룡 장관 3%, 이 대표 2%, 안철수 의원과 이낙연 전 총리 1% 동률 등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층(가중값 338명)에선 50%가 이 대표를 지지하고 김동연 지사·이 전 대표·이 전 총리 3% 동률로 뒤를 이었다. 한 장관은 지난달 국민의힘 지지층의 35%, 이 대표는 민주당 지지층의 55% 지지를 받았다. 각당 지지층에서 1강(强)을 지켰지만 한달간 소폭 내린 것이다.
무당층(가중값 250명)에선 72%가 응답을 유보했다. 주자군 중에선 이 대표 9%, 김 지사 3%, 한 장관·홍 시장·이 전 대표·안 의원 2%, 오 시장·이 전 총리 1%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인물명 제시가 없는) 자유응답 특성상 유권자가 주목하는 인물 누구나 언급될 수 있다"며 "현재 전국적 지명도나 대중적 인기, 조사 시점 이슈가 반영된 지표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1년 1월 이래 조사에서 1% 이상 선호도를 기록한 인물은 16명이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속도로서 승용차, 차선 바꾸다 25t 트럭·SUV 잇단 충돌…50대女 사망
- 홍콩서 라이브 방송하던 韓여성 성추행 남성, 징역 3개월
- 홍콩 피자헛서 `뱀고기 피자` 나왔다…잘게 썬 뱀고기 토핑 `깜짝`
- "룸살롱 20대 女실장 통해 이선균에 마약 제공"…의사 압수수색
- 감쪽같이 사라진 80억 `황금변기`…도둑 잡았는데, 변기는 어디로?
- [오늘의 DT인]이일우 ETRI 본부장 "ICT 통해 산업·에너지 SW화...ESG 시대 기술적 뒷받침할 것"
- 나랏돈으로 좀비기업 연장 경고한 KDI… "정책금융 축소해야"
- 부실에도 성과급 잔치… 금감원, 증권사 10여곳 부동산PF 검사
- 남태평양까지 날아간 이재용, 부산엑스포 유치 광폭 행보
- [신하연의 여의도 돋보기] "총선 표심? 쉿!"… 증권가에 떨어진 `공매도` 함구령
'■ 정치 > 정치 선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 편이었던 이천수, 이재명 반대편에 섰다…방송도 끊고 원희룡 당선 지원 (0) | 2024.02.22 |
---|---|
개그맨 서승만, 민주 비례 출마…"개그보다 웃긴 현실 두렵다" (0) | 2024.02.21 |
강서구청장 사전투표율 22.64%…역대 지선·재보선 중 최고 (0) | 2023.10.07 |
민주당 혁신위, "김은경 '노인 비하' 발언, 사과할 일 아냐" (0) | 2023.08.02 |
與 “선관위원장·위원 전원 사퇴"…선관위, 감사원 감사 수용 재논의 (0)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