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강타한 강달러..원화값 장중 1340원

2022. 8. 23. 08:20■ 大韓民國/경제 금융

 

 

한국 강타한 강달러..원화값 장중 1340원 (daum.net)

 

한국 강타한 강달러..원화값 장중 1340원

원화가치가 ‘1달러=1339.8원’을 기록하며 세계 금융위기인 2009년 4월 수준으로 떨어졌다(환율 상승). 달러당 1340원대 턱밑까지 다가섰다. 달러 강세와 반도체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우려가

news.v.daum.net

 

한국 강타한 강달러..원화값 장중 1340원

안효성 입력 2022. 08. 23. 00:40 수정 2022. 08. 23. 06:33

원화가치가 ‘1달러=1339.8원’을 기록하며 세계 금융위기인 2009년 4월 수준으로 떨어졌다(환율 상승). 달러당 1340원대 턱밑까지 다가섰다. 달러 강세와 반도체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우려가 겹치며 원화 값을 끌어내렸다.

2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 값은 전 거래일보다 13.9원 하락(환율 상승)한 달러당 1339.8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는 2009년 4월 29일(달러당 1340.7원) 이후 13년4개월 만의 최저치다. 장중에는 달러당 1340.2원까지 밀렸다. 2009년 4월 29일 이후 처음이다. 원화 값은 지난 12일 달러당 1302.4원을 기록한 뒤 5거래일 동안 37.4원 하락했다.

달러 강세로 위험자산에 대한 회피 심리가 높아지면서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19포인트(1.21%) 내린 2462.50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도 18.30포인트(2.25%) 하락한 795.87에 장을 마치며 800선이 무너졌다.

원화 값의 추락은 강달러의 귀환 때문이다. 22일 오전 3시(현지시간) 기준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1973=100)는 108.3을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14일 연중 최고점(109.29)을 기록한 후 미국 물가의 피크 아웃(정점 통과) 전망이 확산하며 이달 초 105까지 떨어진 뒤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달러 가치를 끌어올리는 건 긴축의 고삐를 늦출 기세가 없는 미국의 움직임에, 유럽과 중국 등의 경기 둔화 우려가 가세한 영향이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미 연방준비제도(Fed) 인사가 물가 상승 기대를 꺾기 위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매파(통화 긴축)적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반면, 중국과 유럽은 경기 침체 이슈가 지속하며 달러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달러 강세를 부추기는 유럽과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유럽은 ‘S(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경기 침체)의 공포’에 휩싸였다. 영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전년 동월 대비)는 두 자릿수 상승률(10.1%)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로 올랐다. 독일의 7월 생산자물가(PPI)는 1년 전보다 37.2% 상승했다.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는 20일(현지시간) 독일 언론 라이니쉐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에너지 위기가 심해지면 올겨울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22일 한때 유로화 가치는 유로당 0.999달러까지 떨어지며 ‘1유로=1달러’ 패리티(Parity)가 깨졌다.

중국은 코로나19 봉쇄 여파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돈을 풀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은 22일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연 3.7%에서 연 3.65%로 0.05%포인트 인하했다.

코스닥 2.2% 떨어지며 800선 붕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1년 만기 LPR 인하는 지난 1월 20일 이후 처음이다. 경기 둔화 우려 속 기준금리 인하로 위안화 가치도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날 역내시장에서 위안화 값은 달러당 6.8위안으로 하락(환율 상승)한 채 장을 마쳤다. 위안화 값이 달러당 6.8위안 밑으로 밀린 건 2020년 9월 이후 2년 만이다.

달러 강세 속 원화가치 하락을 막을 수출 방파제도 사라지고 있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무역수지는 반도체 수출 부진 등으로 102억2000만 달러(약 13조7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누적 무역적자 규모는 254억7000만 달러(약 34조1000억원)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메모리 반도체 수출에 대한 전망이 좋지 않다는 게 부각되면 한국 수출이나 경제 전반이 꺾일 수 있다는 심리를 자극하기 때문에 원화를 보는 시선도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원화 약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하락세를 이어가는 원화가치 흐름을 바꾸기 위해 방향타를 돌리려면 Fed의 통화정책 행보가 바뀌거나, 유럽이나 중국 등의 경제 상황이 반전돼야 하는데 이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며 신흥국의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달러로 빌린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지는 데다 석유 등 원자재 수입 비용이 늘어나며 수입물가를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